개요
광물자원의 종류 및 활용범위가 다양해지고 생산량도 늘어나면서 광산종사자에 대한 위 해방지, 지하자원의 보호, 광업시설의 보전, 광해방지등에 관한 기술적인지도와 관리 가 필요함에 따라 일정자격을 갖춘 전문인력이 필요하여 자격제도신설.
변천과정
1974년 신설된 광산기사2급, 1987년 신설된 광산보안기사2급, 1991년 신설된 석재기사 2급이 1999년 광산보안산업기사로 등급통합.
수행직무
광산기계 및 화약류 등 광산보안과 직결된 분야에 대한 기술기초지식을 바탕으로 광산 보안 전반에 대한 계획을 수립 및 보안시설의 설치·변경 및 운영하는 등 광산보안에 대한 복합적인 기능업무 수행.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로 및 전망
석탄, 금속광물, 비금속광물을 생산하는 광산현장에서 기자재 생산에 관한 감독 및 안전점검부서, 화약취급 광산분야, 광산기계, 건설물, 공작물 등 시설물 성능 검사업 체, 광산종업원 교육 담당 부서로 진출할 수 있다. 광산보안법」에서 보안관리자, 보안계원, 보안감독자, 보안감독계원으로 자격증취득 자를 선임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그동안 자격취득자들의 많은 인원이 종사한 석탄 산업의 경우 1975년에 239개였던 탄광이 1997년에 11개로 줄어드는 등 석탄소비량의 감소로 폐광이 증가하면서 자격증 취득자의 신규채용은 기대하기 힘들다. 다만 자격 증 취득 시 기술수당이 지급되거나 승진시 유리한 업체가 있어 신규 자격증 취득자 는 기존 종사자들, 혹은 이들을 대체할 인력이 대부분을 차지할 것을 예상된다.
취득방법
[1]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2]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자원공학, 지질학 등 관련학과
[3] 시험과목
필기 : 1. 개발공학 2. 광산기계 및 전기일반 3. 화약 및 발파학 4. 암석역학 5. 암석학 및 지질학
실기 : 광산보안 실무
[4]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1시간 30분정도)]
[5]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