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노동력중심의 농업에서 기계중심의 농업으로 전환되면서 농업생산비 절감 등 농업경영개 선을 위해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바인더, 관리기, 트랙터 등 다양한 농업기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농업기계를 설 계, 제작하기 위한 전문 기술인력이 요구됨.
변천과정
1983년 농업기계기사1급으로 신설(대통령령 제11281호, 1983.12.20)1999년 농업기계기사로 변경 (대통령령 제15794호, 1998.5.9)
수행직무
주로 금속재료의 특성, 설계, 가공방식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농업기계를 설계하고, 기계부품, 공구, 기계를 제작하는 업무수행. 또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농업기계 의 안전사용을 위한 교육 등을 실시.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로 및 전망
농업기계생산업체, 농업기계수리업체, 농업기계화 정책을 추진하는 국공립기관의 공 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농업부문 취업자수 추이를 보면 1998년 경기하락에 따른 역이농현상에 따라 일시적 으로 증가세를 보인 것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런 원인 중의 하나 는 기계화에 따른 노동력절감도 한 몫을 차지한다. 참고로 1998년말 현재 농기계화율 은 건조작업을 제외한 모든 작업분야에서 95%이상의 높은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농 림부 농업정보통계관실, '98 농기계이용수지 및 농업기계화율 조사결과', 1999 참 조). 현대 농업은 이처럼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바인더, 관리기, 트랙터 등 다양한 농업기계가 많이 사용되어 기계 중심으로 바뀌어가고 있다.1990년 대 중반 이후 국내 농업기계 생산이 점차 줄어들고 있긴하지만, 국제화, 개방화 속 에서 농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을 통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농업기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기계의 설계, 개발능력을 갖춘 전문 기술인력에 대한 수요가 꾸준할 전망이다.
취득방법
[1]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2] 관련학과 : 대학의 농업기계공학, 농업공학, 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등 관련학과
[3] 시험과목
필기 1. 재료역학 2. 기계열역학 3. 기계유체역학 4. 농업동력학 5. 농업기계학
실기 : 농업기계설계
[4]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 + 작업형(4시간 정도)]
[5] 합격기준
필기 : 100점으로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